잘들 중국무역 계셨나요?미국여행을 마치고 이제 막 복귀를 해서, 시차 적응 중이네요!최근 2주간 다이나믹한 일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.관련해서 제 생각을 공유드리겠습니다. 미국 중국 무역 협상에 대한 트럼프의 트윗10월 10일 지난주 트럼프의 트윗으로 코인 시장의 '급락'이 있었습니다.아래는 트럼프 트윗 캡처 본 이미지이고영어로 쏼랴쏼랴 하지만결국은 미국 중국 무역협상이 잘 안되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입니다.미국 중국 협상 중에갑자기 왜 트럼프가 이런 트윗을 올렸을까요?그 이유는 중국무역 다가오는 APEC 정상회담에서 선제 압박카드라고 봅니다.* 트럼프식 외교방법이죠. 일단 압박을 하고 보는..-이전 카톡방 대화에서 (그떄는 상승장)이렇게 원웨이로 올리지 않는다.아직 '중국과의 협상'도 마무리 되지 않았다 라고 말씀드렸습니다.바로 미국 중국 무역 협상때문에 시장이 하락했습니다. (희토류)미국 중국 무역 협상이 끝나지 않았기에저는 당연히 단기하락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,이렇게 급락할 줄은 예상하지 몰랐습니다.코인 대규모 청산이 어마했죠..물론 트럼프 트윗 직후에 시장이 급락하자 베센트 재무장관이 중국무역 즉시 대응을 했습니다.* 미국 중국 무역 협상이 잘 되고 있다중국 또한 한 발 빼는 모습을 보면서 시장은 다시 반등했습니다.희토류 문제이 희토류는 이번에 처음 나온 이슈가 아닙니다.종종 중국이 다른 나라와 무역 분쟁을 할 때 나오는 단어인데요.중국이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가지고 있는 무기는 희토류입니다.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, 희귀한 광물이라는 의미고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 많이 쓰입니다.-희토류의 가장큰 생산국이 중국입니다. 희토류가 귀한 이유는, 생산과정에 중국무역 있습니다.희토류를 생산할 때, 여러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합니다.다른 선진국은 생산하기 쉽지 않죠.근데 중국은 환경? 아 몰랑입니다.희토류는 다이아몬드처럼 희귀해서 비싼게 아니라, 생산과정이 까다로워서입니다.다시 말하면, 공급의 다변화가 가능합니다.미국도 희토류때문에 중국에게 끌려가지 않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를 시도할 겁니다.* 즉 중국입장에서도 희토류를 무기로 사용하는 것은 양날이 검이 됩니다.여기서 더 압박을 하면, 수입국들이 공급의 다변화를 시도하기에 중국에도 좋지 않음앞으로 희토류 관련 자산시장 리스크는 없을 중국무역 것 같습니다.지방은행 부실 문제가 한번더?코인시장이 반등하자마자이번주에는 갑자기 지방은행 부실문제가 떠올랐습니다.몇년전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사태 와 같은 이슈인데요저는 지금 지방은행 부실 이슈가 일어날 줄은 솔직히 생각못했습니다.* 이미 터질건 다 터졌다고 생각했는데.. 그리고 제가 최근에 투자한 지방은행 ETF 가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네요오늘은 코인 이야기 말고 미국 주식 이야기를 하겠습니다. DPST ETF 라는 지방은행 3배 레버리지 E...이번주 초 자산시장이 반등을 하는가 싶다니지방은행 중국무역 부실 이슈로 한번더 자산시장이 급락했습니다.* 급락했다가 다시 반등햇다가 다시 급락하는..정말 쉽지 않은 시장입니다.지금은 하락세가 멈추고, 소폭 반등한 상황입니다경제 보다는 정치?저는 최근에 경제지표이야기 보다는 정치/사회 이야기를 더 많이 합니다.작년~올해 초까지는 경제지표 이야기를 많이 했습니다.단기적으로, 고용지표가 어떻다, 물가지수가 어떻다 등 경제지표 이야기를 많이 했고 그에 따른 투자를 했는데요최근에는 경제지표 이야기를 잘 안하고 있습니다.그 이유는요?경제지표는 후행적인 요소 정치는 선행적인 요소라고 생각하기 중국무역 때문입니다.단기간의 경제지표보다는 트럼프 정부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냐가 중요합니다.미국의 부채를 코인시장으로 녹이려하고 있다.미국 국채의 수요를 코인시장으로 돌릴 거다 등등물가? 더 튈 수 있죠.고용지수 ? 더 안좋아질 수 있죠.지방은행 부실 이슈? 더 안좋아질 수도 있습니다.그러나 저는 앞으로 미국정부의 의도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.트럼프 중국 트윗 이후에 베센트 장관의 대응 방식 (주말에 엄청 빠르게 대응했죠 : 중국과 괜찮다)지방은행 이슈 이후에 미국정부의 중국무역 대응 속도 등실상 경기 지표가 안좋다 하더라도, 미국정부가 이걸 막을겁니다. (최소한 내년 지방선거까지는)-과거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사태이후에도 비슷하게 흘러갔습니다.파산 직후에는 시장이 출렁거렸지만 그 이후에 연준의 금리 인하 등으로시장은 반등했습니다 지금도 비슷하게 흘러갈 거라고 봅니다.* 최근에 연준의 QT (양적긴축) 종료 발표도선제적으로 대응한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.롱무새 처럼 계속 롱을 외치는게 그렇긴 하지만지금은 물릴각오하고 저가매수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(저는 이러고 있습니다. 제 중국무역 개인적인 생각이니.. 참고만..]